✅ 5장 구글 애널리틱스 다루는 법 익히기
5.1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자 화면 사용법 익히기
- 사용자 화면(UI,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분석
- 대부분의 GA 분석은 메뉴 영역과 분석 영역에서 이루어짐
- 샘플링 하지 않은 상태 - 초록색, 샘플링 한 상태 - 노란색
5.2 메뉴 영역 : 분석 대상은 무엇인가(What)?
- 대시보드
- 맞춤 알림 : 조건에 해당될 때 알림 발생
- 저장된 보고서 : p.127에서 저장한 보고서
5.3 분석 영역 : 분석을 어떻게 진행할까(How)?
- 세그먼트 : 분석가가 트래픽을 분류하는 기준
- 캘린더
- 주석
- 측정기준 : p.80 참고
- 고급 검색. ex) Direct를 제외해서 출력
- 그래프 출력 유형
- 분석 결과표
✅ 6장 UA 보고서로 분석해 보기
- 보고서 : 잠재고객(Audience) 보고서, 획득(Acquisition) 보고서, 행동(Behavior) 보고서, 전환(Conversion) 보고서, 실시간(Realtime) 보고서
6.2 실시간 보고서
5분 이상 전에 수집된 데이터.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6.3 잠재고객 보고서
인적 정보는 실제 정보가 아니라 구글 시그널 등에 의해 예측된 정보
- 인구통계(Demographics) > 연령 보고서
- 지역(Geo) 보고서 : 사용자의 IP를 통해 확인
- 기술(Technology) 보고서 : 사용자의 쿠키를 기반으로 분석
- 보조 측정기준으로 '기기 카테고리'를 추가해 모바일과 데스크톱을 구분해서 확인
- 모바일 > 기기 보고서 : (not set) 은 정의된 정보가 없다는 의미
- 벤치마킹 > 채널 보고서 : 우위일 때는 녹색, 열위일 때는 빨간색
6.4 획득 보고서
캠페인 효과 측정은 URL에 UTM(Urchin Tracking Module) 이라는 방문 추적 코드를 많이 사용한다.
- 전체 트래픽 > 채널 보고서 : GA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고서
- 전체 트래픽 > 소스/매체 보고서 : 소스와 매체는 p.80 참고
- 캠페인 > 모든 캠페인 보고서
6.5 행동 보고서
- 행동 > 행동 흐름 보고서 : '콘텐츠 그룹이 정의되어 있다면 이 보고서를 통해 웹 사이트 사용자들의 콘텐츠 이동 패턴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그룹이 뭐였지?
- 사이트 콘텐츠 > 콘텐츠 드릴다운 보고서
- 사이트 콘텐츠 : 웹 사이트 내의 웹 페이지
- 사이트 콘텐츠 보고서를 통해 사용자들이 얼마나 많이 웹 페이지를 보았는지, 관심을 가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 콘텐츠 드릴다운 보고서 : 웹 사이트 구조 기준으로 얼마나 페이지를 보았는지. ex) /google+redesign/, /home(메인 화면), /basket.html(장바구니)
- 이벤트 > 인기 이벤트 보고서
- 특정 이벤트가 많이 발생했다는 것은 사용자가 해당 활동을 적극적으로 했다는 의미
6.6 전환 보고서
분석가가 설정해 놓은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 확인할 때 사용
- 목표 > 개요 보고서
- 목표 > 유입경로 시각화 보고서 : funnel
- 전자상거래 > 쇼핑 행동 보고서 : 조회, 장바구니, 결제 정보 입력, 최종 결제 단계
- 전자상거래 > 제품 실적 보고서
6.7 맞춤 보고서
분석가가 임의로 만들어서 사용
✅ 7장 GA4 본격적으로 다루기
7.1 GA4의 특징
UA는 웹 페이지 분석을 기본, GA4는 앱이 웹만큼 중요해졌기 때문에 등장
- 이벤트 중심으로 변화 : UA(세션의 페이지 뷰, 이벤트가 기존 측정 방식) <=> GA4(이벤트로 측정)
- 앱과 웹의 통합 분석(데이터 스트림)
- 단순화
- 원천 데이터를 마음껏 가공하는 빅쿼리
7.2 태깅
7.3 GA4 이벤트 개념 한 방에 잡기
- 이벤트 구조 : 이벤트 이름, 매개변수, 변수 값
- 이벤트 종료 : 자동 이벤트, 수동 이벤트
- 자동 수집 이벤트
- 추천 이벤트
- 맞춤 이벤트
7.4 GA4 사용자 화면
- 계정 선택기
- 검색 영역
- 메뉴 영역
- 분석 영역
- 캘린더 및 기능 영역
- 콘텐츠 분석 영역
💬 느낀 점
- 실습은 구글 데모 계정의 데이터를 가지고 진행이 된다. 그런데, 계속 따라 하다 보니 각 속성 및 앱마다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그래서 우리는 무엇을 분석하고 있는지 혼돈이 올 때가 있다.
- 위와 같이 느끼는 이유는 (GA4 - Flood-It! / GA4 - Google Merchandise Store / UA - Google Merchandise Store) 의 차이가 실감이 나지 않아서인 것 같다.
- GA4 와 UA의 차이, GA4에서도 웹과 앱 데이터의 차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두 번 보면 알게될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