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6 영화관 스페셜티켓(특전) 데이터 수집 프로젝트 구상하기 들어가며영화를 보는 것도 좋아하지만, 영화를 보고 나서 제공되는 특전을 받는 것에도 관심이 많다. 영화관 특전 중에서도 좋아하는 것은 영화 입장권을 특별하게 만든 스페셜 티켓이다. 스페셜 티켓은 영화관 별로 오리지널 티켓, ttt(That’s the Ticket), 스페셜 티켓 등으로 불린다.그런데, 이 스페셜 티켓은 개봉 당일~익일 사이에 매진이 되는 경우가 많다. 대체 수량을 얼마나 뽑길래?!스페셜티켓의 수량은 제공되지 않아서, 직접 잔여 수량을 가늠해보고 싶은 마음으로 구상한 프로젝트이다. (물론 이해는 된다.. 모두가 가질 수 있다면 그것은 스페셜티켓이 아니니까...! 하지만..! 갖고싶어...!) 이 프로젝트를 통해서 해소하고 싶은 궁금증은 아래와 같다.1. 영화의 사전 인기도에 따라 스페셜 티.. 2025. 3. 15. 기계식 키보드 트렌드는 어떨까? 평소에 궁금했던 것을 데이터로 가볍게 풀어보는 ‘월간 데이터노트’라는 채널에 참여했다. 25.01월에는 두 달 정도 기계식 키보드 구매를 위해 고민을 해왔는데 궁금한 요소가 많이 생겼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월간 데이터노트 주제도 ‘기계식 키보드 트렌드’로 잡았다.월간 데이터노트 소개 (모집글 정제)문득 주변에 마주한 문제들을 데이터로 풀어보는,을 모방한 짧은 사이드프로젝트를 해보는 것.공개된 API를 활용하면 쉽게 시각화 및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너무 큰 목표를 잡지 않고, 하루 혹은 반나절에 가능한 컨텐츠를 1-2장의 장표로 정리 1. 이 달의 호기심키보드를 사려고 보니, 키보드가 보편화 되고 종류가 다양해진 것 같다.→ 분석 주제 : ‘네이버 쇼핑’ 리스트를 통해 키보드 트렌드 확인→ 세부 확인사.. 2025. 2. 1. 분석가에게 SQL 연습문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2024년 12월에 solvesql에서 ‘Advent of SQL 2024’라는 SQL 어드벤트 챌린지를 이벤트 삼아 진행했다. 어드벤트 캘린더에서 아이디어를 착안해 SQL 문제를 매일매일 풀어본다니, 아이디어가 너무 좋다고 생각했다. 또, 그냥 공부하면 하기 싫은데, 이렇게 이벤트성으로 + 완수하면 뱃지도 주고(물욕) + 한문제씩만 푼다면 부담도 없을 것 같고, 안풀려도 심도있게 고민해볼 수 있을 것 같고 + 이벤트에 참여한 다른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여러모로 흥미로운 이벤트였다.제목을 거창하게 썼지만, SQL 쿼리 연습문제를 풀어보며 실무에서 하는 부분이 문제에 많이 녹아있다는 것을 느꼈다. 기계적으로 쿼리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에 녹아있는 실무적인 부분을 상상하는 습관을 잊지말자는 다짐 차원.. 2025. 1. 19. 데이터 산출 쿼리에서 간과했던 부분들 (feat. 영업일, 누더기 쿼리의 시작) 최근 분석용DB 중 생산량 테이블 구축을 완료했고, 생산량 테이블을 활용하여 생산량 보고 자동화를 한 업무가 있었다. 생산량 보고를 위한 쿼리 작성 시 간과했던 부분(=영업일 개념을 반영하는 것)과 또 쿼리 수정이 필요할 때 고민이 되었던 현실(=빠른 수정 vs 더 나은 쿼리)을 기록해두고자 한다.(*아래 내용은 실제 업무 내용을 각색 또는 간소화해서 작성) 1. 쿼리 작성 시 간과했던 영업일, 생산 가동일 조건현재 회사는 제조회사이고, 생산량과는 '영업일, 생산가동일'이란 일자 개념이 연관 있다. 처음에는 영업일만 고려하여 케이스별 추출 조건을 작성하였으나, 추가적으로 중요한 '생산가동일' 개념을 놓쳤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처음에 고려했던 케이스 + 놓친 케이스, 선택할 수 있는 해결 방안과 예상 결과.. 2024. 11. 23. 데이터 분석가 A씨의 고민 : 정확한 수치의 보고란 환상일까? 서론 데이터분석을 시작하면 코딩을 하면서 짜라란 결과물을 내는 과정보다, 데이터를 뜯어보면서 전처리 및 정합성을 훑어보는 시간이 훨씬 길어서 ‘이게 맞나?’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같은 데이터 화면이 변화 없이 30분 지속되면 ‘쟤는 대체 뭘할까라고 생각하겠지?’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데이터의 정확도에는 변수가 너무 많았다고 느껴서, 2023년 하반기 동안 마주했던 정확도를 방해하는 예시들을 정리해보았다. 크게 ‘회사의 환경적 이유’, ‘데이터가 입력될 때’, ‘보고자료를 준비하는 사람의 관점이 데이터에 반영될 때’로 나눠보았다. *모든 사례는 각색 되었습니다. 정확도에 영향을 미쳤던 경우 1. 회사의 환경적 이유 환경적 요인으로 회사의 분석 기준이 정확하게 수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렇.. 2024. 1. 6. 다이어그램? 데이터분석? https://blog.naver.com/pareko/223139884872 행동 데이터 분석 : 고객 데이터 분석 실전 지침서 구독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담당자가 잠재 고객에게 이메일을 보내 서비스를 구독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 blog.naver.com 데이터분석가 직무를 가진 사람이, 다이어그램은 어떤 툴을 사용하냐는 질문을 봤다. 해당 질문에 답이 금방 올라오는 것을 보고, 데이터분석 관련해서 어떤 다이어그램을 사용하는지 검색해보았다. 인과관계 다이어그램을 그려서 분석을 많이 하는 것 같고, 예시가 흥미로워서 해당 책을 구매해보고 싶다. 현재 업무에서 어떤 분석을 해볼 수 있을까 고민을 하는데, 회사에서 관심을 가진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뭘까 설정하고, 그 변수 중 가장 영향이 큰 변.. 2023. 8. 18. 이전 1 다음